혼자 있고 싶네요. 모두 나가주세요.
Iconfinder[링크] 를 이용하면 참 좋다.
'/자비' 로 목숨을 구걸하면 참 좋다.
크롬은 저 말대로 해도 안된다. 크롬 설정 -> 고급으로 이동 콘텐츠 설정 -> 플래시 허용의 추가 버튼을 눌러서 자신의 티스토리 주소를 추가 (예 : http://chanhyeok.tistory.com) 이렇게 설정해주면 참 좋다.
블로그 관리 -> 좌측 메뉴 中, 꾸미기 -> HTML/CSS 편집으로 이동한다. CSS 탭으로 들어가도록 하자. Ctrl+F로 background-image 를 찾자. .wrap_sub{background-image:/*@background-image*/url(images/header_default.jpg)/*@*/;} 위와 같은 라인을 볼 수 있다. 삘이 딱 온다. 아 저거 이미지 이름(header_default.jpg)만 바꾸면 되겠구나 당연히 내 블로그에게 내가 쓸 사진이 뭔지 알려줘야한다. 위의 CSS 탭에서 파일 업로드 탭으로 이동하도록 하자. 응 추가 다시 CSS 탭으로 돌아가서 파일 이름만 변경해주고 저장 눌러주면 된다.
블로그 관리 -> 좌측 메뉴 中, 꾸미기 -> HTML/CSS 편집으로 이동한다. 들어가보면 알겠지만 HTML과 CSS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이라면 가지고 놀 수 있다. 하지만 나는 쥐뿔도 모르기 때문에 통탄을 금할 수 없다. 차오르는 열등감을 억누르고 CSS 탭으로 이동하도록 하자. 눈이 돌아가기 시작한다. 다행히 개발자가 주석을 친절하게 달아 놓았다. Ctrl+F로 .area_head .area_profile .link_post를 찾자. 그 중괄호 안에 있는 내용물이 블로그 제목에 관여하는 속성들인 것 같다. 나는 쥐뿔도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건 노가다로 알아봐야 한다. .area_head .area_profile .link_post{ font-weight:200; font-size:16px; font..